제76장더러운 땅에는 초목이 많이 자라지만 맑은 물에는 언제나 고기가 없느니라. 그러므로 군자는 마땅히 때묻은 것을 감싸고 더러운 것을 받아들이는 아량을 지녀야 하며 깨끗한 것을 좋아하여 홀로 행하는 지조를 가져서는 안될지니라. <원문原文>地之穢者(지지예자)는 多生物(다생물)하고 水之淸者(수지청자)는 常無魚(상무어)니라. 故(고)로 君子(군자)는 當存含垢納汚之量(당존함구납오지량)하고 不可持好潔獨行之操(불가지호결독행지조)니라 <해의解義>기름기가 많은 더러운 땅에는 풀과 나무가 잘 자라고 그 사이에 곤충이며 동물들이 많이 서식한다. 그러나 지극히 맑은 물에는 먹이도 없고 숨을 곳도 없기 때문에 물고기도 살지 않는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지나치게 깨끗하여 메마르고 인정이 없으면 아무도 그를 가까이하려하지 않는다. 누구나 조그마한 결점이나 실수는 있게 마련이며 우둔함과 미련함이 없을 수 없다. 모름지기 이러한 것들을 더럽다고 물리치고 천하다고 멀리하여서는 안되니 용서하고 받아들이는 아량이 있어야 사람들의 신망을 얻어 큰일을 이룰 수가 있다. 오직 나 자신만 깨끗하면 그만이다라는 식으로 세상을 비웃고 우매한 사람을 깔보며 홀로 외로이 살아가는 작은 지조는 이미 어디에도 소용이 닿지 않는 것이다. 한마디로 갑남을녀(甲男乙女)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공자도 ‘물이 지극히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극히 살피면 따르는 무리가 없다.(水至清即無魚 人至察則無徒(수지청즉무어 인지찰즉무도))고 하지 않았던가. <주註>穢(예) : 더러움, 여기서는 거름이 많다. 지저분한 곳. 常(상) : 언제나, 늘. 存(존) : 지니다. 含垢(함구) : 때묻은 것을 받아들임. 納汚(납오) : 더러운 것을 받아들임. 납(納)은 용납. 量(량) : 아량, 기량. 持(지) : 지님, 가짐. 操(조) : 지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