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땅, 진솔한 농부의 땀으로 만든 곶감노상건 송파농원 대표지리산 가는 길 휴천면은 함양 내에서도 깨끗한 자연이 그대로 살아있는 곳이다. 가을을 상징하는 과일 중 하나인 감이 맛있게 익어가는 곳 송파농원에는 이제 막 물이 오른 감들이 주렁주렁 달렸다. 호산리 송파농원은 노상건(70) 박숙자(66) 부부가 운영한다. 송파(松坡·언덕 위의 소나무)는 노상건씨의 호로 언덕위의 그의 농원과 아주 잘 어울렸다. 양지바른 언덕에 자리 잡은 송파농원의 부지면적 5.5ha다. 감나무가 심겨진 면적만 4ha로 경남지역에서는 이정도 대규모 감 단지가 조성된 곳은 거의 없다. 비교적 큰 규모의 산 전체에 감나무가 군대 사열하는 것처럼 줄을 지어 빼곡히 심겨져 있다. 나무와의 거리 5m. 골당 넓이는 7m. “이 정도 넓이는 되어야 장비나 차량이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어요. 인력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시기는 지났어요. 그래서 어떤 장비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넓게 심었어요” 자신이 직접 일군 농장을 바라보는 그의 얼굴에서 흐뭇함이 묻어난다. “처음 이 곳에 터를 잡았을 때는 지금처럼 평평하지 않았어요. 중간에 15m 정도 되는 계곡도 있고. 중장비를 이용해 메우고 고르기를 반복해 지금 이 땅을 만들 수 있었어요” 야산을 지금의 보물창고로 만들기까지 15년이란 시간과 그의 땀과 노력이 들어갔다. 50대의 부부도 이제는 70을 넘겨 일이 힘에 부칠 때도 많다. 농장을 일구는 동안 허리를 다쳐 아직까지도 물리치료를 받고 있다. 송파농원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일흔이 넘는 고령이 노상건 대표가 풀이 자라는 족족 예초기를 이용해 제초작업을 펼치기 때문이다. 또 화학비료도 일절 사용하지 않는다. 힘들지만 산야초와 퇴비만을 사용해 건강한 감을 생산한다. 곶감을 만드는 원료감은 고종시를 사용해 ‘씨 없는 곶감’이다. 고종시는 원래 씨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마음 놓고 먹을 수 있는 곶감을 생산하는 송파농원 노상건 대표. “50대에 귀농을 해 농장을 일궜는데 이제는 나이가 들어 일을 제대로 할 수가 없습니다. 분명히 그때는 지금보다 많은 꿈을 꾸었는데... 그것을 모두 이루지 못할까 걱정입니다.” 송파농원에는 1,200여주의 고종시와 대봉감 등이 자란다. 노상건씨가 이곳 농장을 처음 구상한 것은 지난 2000년. 원래 고향이 죽곡으로 그동안 부산에서 생활하다 그는 50대에 귀농을 결심했다. 함양지역 1만평 이상 되는 곳을 찾아 헤매다 이곳을 발견하고 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어짜피 나무는 내가 심어 내가 돈을 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아니라면 어느 누군가가 이것으로 인해 발전할 수 있었으면 된 것 아니겠습니까” 욕심 없는 농부의 마음이 전해진다. 노상건 대표는 아직 꿈을 꾼다. 농장 가득 만발한 꽃들과 그것을 보기위해 찾아오는 관광객들. 관광농원의 꿈은 아직까지 이어진다. 곳곳에 석류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를 심고, 꽃이 피는 유실수도 심었다. 올해는 무더위와 가뭄 등으로 감나무들이 고생한 만큼 노상건 대표도 마음고생이 심했다. 관수시설이 비교적 잘 되어 있지만 몇 해 전부터 줄어들기 시작한 지하수 문제로 힘든 여름을 보냈다. 이제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본격적인 원료감 생산과 곶감 만들기가 시작되낟. 노상건 대표는 “건강한 땅, 청명한 햇살과 바람, 그리고 쉼 없는 농부의 발길 속에 송파농원의 감나무는 자라납니다. ‘우리 몸을 살리는 먹거리를 만드는 것’, 그것이 저희 송파가족의 자부심입니다.” 송파농원의 맛있는 곶감은 홈페이지 (http://songpa0742.modoo.at)를 통해 보다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또 함양군에서 보증하는 함양군쇼핑몰(www.2900.co.kr)에서 보다 많은 직접 주문할 수 있다. 약초의 모든 것 생약수집소를 다 있어요송미향 생약수집소 대표예로부터 지리산과 덕유산에서 나는 약초들을 자연이 내려준 최고의 보약이라며 최고로 취급해 왔다. 그 귀한 약초들이 생산되는 중심은 함양이며 그 만큼 함양은 약초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안의전통시장 내 ‘생약수집소’는 그 자연의 혜택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풍부한 약초와 그 약초를 쓰임새에 맞게 소개하는 것은 생약수집소가 지난 50여년간 해온 일이다. 생약수집소의 송미향 대표는 약초꾼이자 약초를 판매해 온 대선배인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가업을 물려받았다. 생약수집소에서는 80여 가지의 약초가 구비되어 있다. 대부분이 남녀노소 모두가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상품약재들이다. 약초를 사는 사람에게는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것을 설명해 줘야 한다. 국산 토종 약초들만 취급하는 ‘생약수집소’. 소비자들이 찾는 약재들은 대부분이 구비된 것이다. 또 꼭 필요해 구해달라는 약재들도 구해서 보내주는 정성을 보인다. 쓰임새는 물론 사람의 체질에 맞춘 처방까지 달라 약초를 공부하는 것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약초집 딸로 태어나 부유하지는 않지만 남부럽지 않은 유년 시절을 보낸 송미향 대표. 어린 시절 주변에서 늘 보아오던 약초들은 그녀에게 크게 다가오지 못했다. 그러다 약 10년 전 귀촌한 이후 그녀의 아버지 뒤를 이으면서 피나는 공부를 시작했다. “저는 남들이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것도 눈과 귀, 코만 열어 놓으면 쉽게 익힐 수 있었습니다. 항상 옆에 있는 약초와 훌륭한 스승까지 계셨으니까요”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 등 옛 문헌을 보면서 약초에 대한 공부와 가장 훌륭한 스승인 아버지로부터 틈나는 대로 배워나갔다. 거창대학에서도 약초학과를 나오는 등 열정적으로 약초 공부에 매달렸다. 그녀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본격적으로 약초 판매에 뛰어들면서 약용식물관리사, 발효효소관리사, 보건식품처방사, 약용식물자원탐색지도사 등 약초와 관련된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했다. “계속해서 공부를 할 수 밖에 없어요. 약재는 약명, 식물명, 학명, 지역마다 불리는 이름까지 어떤 약초는 10가지가 넘게 부르는 경우도 있어 정확하게 알아야 해요” 약초 중 우슬(牛膝)만 해도 여러 가지로 불린다. 우리말 뜻대로 ‘쇠무릎’ 혹은 ‘쇠무릅’이라 불리고, 지역 사투리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불리기도 한다. 말(馬)이 많은 지역에서는 말무릅으로도 불리는 것이 우슬이다. 약초를 판매하기 위해서는 약초의 이름은 물론 그 쓰임새까지 달달 외울 수밖에 없다. “매일 보고 만지는 것이 약재인데 자다가도 약재에 대해 물어보면 말이 튀어 나옵니다” 이제는 약초 전문가가 된 그녀. 그녀가 쏟아내는 약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노라면 시간 가는 줄 모를 정도로 이야기에 빠져 들었다. “보혈은 당귀와 천궁이다. 청혈작용에 뛰어나 함께 쓰야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여자들에게 권하는 것이다. 보기에는 인삼과 황기만한 것이 없다” 약초와 관련해 재미있게 풀어내는 그녀의 이야기들은 흥미도 있지만 지식이 쌓이는 느낌이다. “이용부위에 따라서도 약성이 다르며 약초마다 법제 방법도 모두 다릅니다. 또 약초도 모두 스토리가 있어 재미있게 공부합니다” 그녀의 입에서는 쉼 없이 약초 이야기가 쏟아졌다. 9월은 송이가 제철이다. 그녀에게도 송이를 주문하는 전화가 끊이질 않는다. 제철 약제들도 중요하지만 그녀가 운영하는 생약수집소에서는 찾는 약재는 모두 판매할 수 있는 오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기타 정보는 생약수집소 홈페이지(www.hyhb.co.kr/)나 블로그(blog.naver.com/ho5534)로 통해 보다 알찬 약초의 내용들을 접할 수 있다. 또 함양군에서 보증하는 함양군쇼핑몰(www.2900.co.kr)에서 생약수집소를 만날 수 있다. <연재 끝>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