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사 김윤세태어남이여 한 조각 뜬구름이 온 건가(生也一片浮雲起)/죽음이여 한 조각 뜬구름이 간 건가(死也一片浮雲滅)/뜬구름 본디 자취 없던 것(浮雲自體徹底空)/덧없는 몸의 나고 죽음도 이와 같아라(幻身生滅亦如然)…생략 고려 말 조선 초의 고승 함허 득통(涵虛得通.1376∼1433)선사의 이 시는 모든 존재에게 예외 없이 적용되는 무상(無常)의 법칙을 잘 보여주는 글이다. 고향인 김해 봉하 마을로 돌아가 야인(野人)의 삶을 살던 노무현 전(前) 대통령이 지난 23일 사저 뒷산의 부엉이 바위에서 스스로 뛰어내려 파란 만장한 영욕의 삶을 마감했다. 짤막한 유서에서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이 아닌가”라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겨 그를 추모하는 많은 사람들의 뇌리 속에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삶의 종언(終焉)을 고하는 임종게(臨終偈)’로 각인되어 더욱 마음을 숙연하게 만든다.정권이 바뀔 때마다 앞 정권의 치부를 만천하에 드러내 도덕성에 흠집을 내고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어. 살아도 죽은 사람이나 다름없게 만드는 우리 정치판의 오랜 관행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제발 종지부(終止符)를 찍고 더 이상 이러한 국가적 국제망신과 개인적 불행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이러한 간절한 마음들이 이번 노 前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국민적 추모의 열기로 승화되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간과(看過)하거나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되리라 생각된다.  위정자들은. 특히 나라의 지존(至尊)인 최고 통치권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쫓아다니며 권력의 핵심에 아부하여 이권을 얻어내고 그래서 먹고사는 간신배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감안해 언제나 직언(直言) 고언(苦言)에 귀 기울이며 정치 정의(正義)와 국익(國益)을 위한 현명한 판단을 내릴 필요가 있겠다. 오늘의 대통령은 내일의 전직 대통령이고 지금의 지자체장은 내일의 전직 지자체장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당대의 당사자는 허위보고와 아첨을 일삼는 ‘인(人)의 장막’에 가리어져 올바른 판단을 하기 쉽지 않은 것 같다. 신(神)이 아닌 인간이 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는 사안이기는 하지만 서로서로 추한 마무리와 비극적 종말을 만드는 악연(惡緣)만 되풀이된다는 역사적 사실을 곰곰 되새겨 이제부터라도 과감하게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고금 성현(聖賢)들께서 제시한 인간적 대도(大道)와 정치적 대의(大義)의 길로 나아가 주기를 기대할 뿐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검찰이나 경찰 등 수사 또는 조사기관 공직자들은 직무상 불가피할 수 있고 전혀 악의가 없었다고는 하지만 조사를 받는 처지의 사람들이 받을 수밖에 없는 스트레스와 중압감을 십분 감안해 “죄를 미워하되 결코 죄인을 미워하지 말고 긍휼히 여기는 인간적 배려가 더욱 요구된다”는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여 직무수행시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짧지 않은 삶의 시간. 결코 순탄치만은 않은 인생의 노정(路程)을 걸으며 우리들의 삶을 아름다움으로 연출하기 위해서는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면서 아귀다툼의 인간세상을 즐거움만 가득한 천당 극락세계로 만들어가려는 의지와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노무현 전 대통령은 자신을 옥죄이는 현실의 속박에 많은 고민을 하다가 자신과 인연이 깊은 산의 부엉이 바위에서 몸을 던져 사람들이 ‘인간 노무현’의 정확한 실상(實相)을 보지 못해 갸웃갸웃하던 현실의 벽을 훌쩍 뛰어넘어 자신의 본래면목과 진정성을 유감없이 보여주면서 영원성을 지닌 역사적 ‘노무현’으로 부활(復活)하였다. 인생은 어떻게 영위하느냐에 따라 ‘살아도 죽은 것일 수 있고 죽어도 산 것일 수 있음’을 보여준 실례로 국민들의 뇌리에 길이 각인될 듯싶다.  다만 생활고 등으로 우울증에 시달리다 자살을 택하는 자살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할 때 노무현 前 대통령의 ‘남다른 죽음’이 또 하나의 모델이 되지 않도록 생명경시풍조의 확산을 막기 위한 또 다른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 역시 높아졌음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아울러 노 前대통령의 서거를 한 마음으로 애도하고 추모하는 이들 역시 노 前대통령이 한 목숨 던져 일깨워주고자 했던 본래 의도에 반하는 지나친 편가르기와 적대행위를 통해 노 前대통령 서거의 진정한 의미를 퇴색시키고 또 다른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는 불행한 일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객원 교수>  
Select count(idx) from kb_news_coment where link= and !re_id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