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남부지역의 소득 작물 후작으로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의 늦은 모내기에도 안전하게 쌀을 생산할 수 있는 벼 품종을 소개했다.  최근 논에 벼와 소득작물 등 타 작물을 일년에 2, 3번 재배하는 이어짓기를 통해 논의 이용성 증진 및 쌀 적정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남부지역의 경우, 봄철 양파, 감자 등의 소득작물 수확 후 후작으로 벼재배를 하므로 6월 25일부터 7월 5일 전후 늦은 모내기를 해야 한다. 늦은 모내기를 할 때에는 쌀 수량과 품질이 떨어질 수 있어 재배 형태에 따라 안정적인 생산을 할 수 있는 품종 선택을 해야 한다.  봄철에 감자, 옥수수를 심고 6월 중순 수확 후 여름철에 벼를 심는 2번 이어짓기 시, 6월 25일경에 이앙해도 수량 및 완전미율이 높은 중만생종 ‘삼광’, ‘현품’을 재배하면 된다.  여름철에 벼를 심고 10월 중순 수확 후, 11월 초 밀, 양파를 심는 2번 이어짓기 시, 6월 25일경 이앙해서 10월 중순 경 수확할 수 있는 중생종 ‘하이아미’, ‘삼덕벼’, ‘해품’을 재배하면 된다. 봄철에 감자, 옥수수, 여름철에 벼, 가을철에 시금치를 심는 3번 이어짓기 시, 벼 앞작물인 감자와 풋옥수수의 수확이 끝난 6월 중순 경 벼 재배가 가능하므로 7월 5일 이앙시, 10월 중순 수확이 가능한 조생종 벼 ‘조광벼’, ‘해담쌀’을 재배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논이용작물과 김상열 연구관은 “논에 소득작물과 벼를 이어짓기를 하면 농가소득도 올릴 수 있고 논 이용률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소득작물 후작으로 늦게 모내기를 할 경우, 생육기간이 짧고 등숙기 저온이 문제가 되어 수량과 품질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재배안전성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