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갈등 문제가 부각됐던 평안복지재단이 원만한 타협점을 찾을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 1월27일 오후2시 함양군청 재난상황실에서는 구영복 주민생활지원실장 등 군 관계자, 평안복지재단 이사를 비롯해 운영진, 노동조합 간부,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관계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노사 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설립된 평안복지재단 노동조합에 대한 법인측의 부당노동행위, 즉 노조를 주도한 이들에 대한 해임을 비롯한 노조 탈퇴 종용 등에 대해 반발하면서 부각되어 노사간 팽팽한 대립을 보이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평안복지재단은 지난해 12월22일 원장 2명과 사회복지사 2명을 해고했으며, 이에 반발해 지난 1월20일 30명 정도가 참여하는 노동조합이 설립되었고, 해고자 복직 등을 요구하며 법인측과 팽팽하게 맞섰다.
평안 노조에서는 법인에서 노조를 주도하고 있는 위원장 등 4명을 해임하고, 노조 탈퇴를 종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노조를 탄압하고, 원만한 노사교섭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노사 갈등의 가장 쟁점이 되었던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원만한 합의가 이뤄졌다. 법인측에서는 “노동조합을 부정하지 않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겠다.”라며 “앞으로 노조 활동에 전혀 방해되지 않도록 하겠다. 실수가 있었다면 앞으로 그런 일이 없도록 하고 사과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4명이 해고자 복직과 관련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일단 사회복지사 2명에 대해서는 이사회를 통해 복직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로 했으나, 원장 2명에 대해서는 지방노동위원회의 결과에 따라 처리할 것으로 합의했다.
현재 떠돌고 있는 매각 및 폐업과 관련한 다양한 말들에 대해 법인측에서는 “평안이 위기에 처한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까지 경영에 대해 신경 쓰는 이가 없어서였다. 어려운 사정 가운데 노조까지 들어서면서 폐업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절대 폐업하지 않을 것이다. 30일 이사회에서 이사장을 선임하면 경영에 대해 다시 한 번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결의한 내용에 대해 서면으로 작성했으며, 이후 원만한 교섭을 이어나가기로 합의했다.
한편 평안복지재단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법인의 전횡을 비롯해 이를 묵인하고 있는 함양군청의 관리감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었다.강대용 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